일상의 심리학 3

애착 전략... 유아의 생존 분투기

공부하려고 사둔지 아주 오래된 책을 꺼내 읽으며... 세상에 갓 태어난 유아의 마음을 상상해 보고 있다. 07장. 애착관계가 어떻게 자기를 형성하는가 를 읽고 정리해보는 내용이다. 유아는 스스로 안정의 느낌을 만들어낼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, 유아가 감당하기 힘든 감정을 다루는 것을 도와줄 존재(애착 대상)가 필요하다. 애착 대상의 도움으로 감정을 다루는 과정이 곧 '정서 조절' 이라고 할 수 있고, 유아의 심리적 운명(안정 OR 안정의 결여)은 유아의 최초 관계가 정서 조절에 얼만큼 성공/실패하느냐에 달려 있다. 이를 위해 중요한 것은 유아의 정서에 대해 양육자가 보이는 반응의 질(반응성이라고도 하는)이라고도 할 수 있다. 안정애착 양육자의 반응 > 유아의 고통 완화, 긍정적 감정 증폭에 도움이 됨 ..

일상의 심리학 2024.03.15

5가지 핵심적 정서욕구가 채워지지 않는다면? (feat. 심리도식치료)_1

심리도식치료에서는 심리도식에 관한 여러 개념을 소개하고, 요런 용어들을 활용하여 이론을 펼쳐나간다(↓↓). 심리도식치료를 공부하려면 이 똑똑한 분들이 제시한 개념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. 오늘은 요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한다. 심리도식 - 18개 조건적/무조건적 심리도식 심리도식 영역(schema domains) - 5개 심리도식 양식(schema mode) - 10개 심리도식과 심리도식 영역 18개의 심리도식은 5개의 심리도식 영역(domains)으로 묶을 수 있다. 요 심리도식 영역은 앞서 소개했던(2020/05/31 - [일상의 심리학] - 결핍에 대처하는 세 가지 방법(feat. 심리도식치료)_1) 아동기에 충족이 필요한 5가지의 핵심적 정서욕구를 중심으로 분류된 것이다...

일상의 심리학 2020.06.06

결핍에 대처하는 세 가지 방법(feat. 심리도식치료)_1

사놓고 처박아둔 Jeffrey.E.Young의 심리도식치료 책을 보고 있다(역시 사두면 다 볼 때가...). 얼마 전에 뇌피셜로 결핍에 대해 썼던 글(↓)을 이론에 근거하여 풀어볼 수 있을 것 같아 공부도 할겸 정리를 해본다. 2020/05/26 - [일상의 기록 ] - 결핍은 사람을 비호감으로 만든다. 심리도식치료는 한마디로 인지행동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았던 만성적인 성격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'확장된 인지행동치료'이다. 어린 시절부터 어떤 위협이나 결핍으로 인해 심리도식(schema)이 형성되고, 오랜 세월 함께해서 자아-동조적(ego-syntonic)인 특성(이미 나의 일부이기 때문에 함께 하는 것에 큰 불편함이 없는 상태라는 의미)을 보이는 심리도식은 사람들의 삶의 전반에 지배적..

일상의 심리학 2020.05.31